책소개
이훤 시인이 당근마켓에서 찾은 오래된 물건과 새로운 우정
‘아무튼’ 시리즈 59번째 책은 시인이자 사진가인 이훤 작가의 『아무튼, 당근마켓』이다. ‘당근마켓’(2023년 8월, ‘당근’으로 이름을 바꿨다)은 2023년 8월 기준 누적 가입자 수 3천5백만 명을 넘어서면서 이제는 중고 거래의 대명사가 되었을 만큼 친숙한 플랫폼이다. 이 특별할 것 없는 거래의 장, 일상의 온라인 공간이 어떻게 어떤 한 사람에게는 ‘나에게 기쁨이자 즐거움이 되는, 생각만 해도 좋은 한 가지’가 되었을까.
이훤 작가는 물건을 좋아한다. 필요한 물건을 잘 고르는 일에도 재미를 느끼지만, 필요에 관계없이 아름다운 물건을 눈여겨보았다가 큰맘 먹고 들여 애지중지 쓰는 것을 좋아한다. 무엇보다 “경험과 시간이 제한된 세계”에서 “엎질러진 시절을 다시 통과하게” 해주고 “먼 타인과 나의 생활을 포개어”주는 중고 물건에 매료된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누군가 쓰던 물건뿐만 아니라 그것을 들이고 내보낸 사람, 그 과정에 담긴 이야기, 그 이야기를 전하는 언어를 아껴 모은다.
『아무튼, 당근마켓』은 손 안에 전 세계를 쥔 것 같은 광활한 온라인 세상 한편에서, 도보 이동 가능한 반경 안의 ‘동네’ 사람들과 물건을 사고팔고 안부를 전하며 ‘이웃’이 되어가는 공간, 당근마켓에 빠진 사람의 이야기다.
목차
거래의 현장
우리는 그렇게 만날 수도 있다
**연락 주세요― 아이폰 11 그린**
밀고 당김의 질서
끄트머리와 끄트머리
우리를 우리답게
한 칸씩 밀려나는 과거
이 작은 옷은 언제나 나보다 크다
정릉 커뮤니티의 일들
입에서 입으로
‘올해의 당근인’ 인터뷰
당신의 온도
저자소개
출판사리뷰
비슷하게 간절한 사람들이 만나는 순간을 좋아한다
이훤 작가는 열아홉의 나이에 홀로 먼 나라로 이민을 갔다. 이방인으로서 그곳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새로운 언어를 들이는 사이 한국어가 빠르게 빠져나갔다. 그는 한국어를 붙들고 싶었다. “모국어와 타국어 사이 틈의 말을 찾아서, 나만 아는 방법으로, 세계를 다르게 경험하고 기록하고 싶”었기에 결국 시인이 되었다. 또 그는 ‘여기’ 아닌 ‘저기’, 외부에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더더욱 과거에 지냈던 곳이 그리워서 시간에 떠내려가는 장소와 장면들을 붙잡고 싶었고, 그래서 사진가가 되었다.
당근마켓에는 그와 비슷하게 지나간 것, 오래된 것을 붙들고 싶어 하는 사람이 많다. 반대로 뭔가를 새로 들이기 위해 익숙한 것, 아끼는 것을 내놓는 사람도 많다. 남의 손이 절실한 사정이 있고, 그 사정에 응답하는 손이 있다. 저마다 다른 필요에 의해 모인 사람들 사이에서 물건과 노동의 교환가치는 새로 매겨진다. 한쪽에서는 열심히 내보내고 또 한쪽에서는 신중히 들이는 동안 수요와 공급이 밀고 당기며 스스로 균형을 이루는 이 자발적인 시장에서 이훤 작가는 중고 마켓의 아름다운 효용을 발견한다. “나에게 더는 필요하지 않은 소유가 누군가에게는 기다려온 바로 그 물건일 수 있다. 꼭 팔아야 하는 사정과 마침 그걸 찾던 손이 만날 수도 있다. 고맙잖나, 서로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다는 감각은. 비슷하게 간절한 사람들이 만나는 순간을 좋아한다.”
우리는 그렇게 만날 수도 있다
‘서로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다는 감각’은 물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훤 작가가 다양한 중고 마켓 중에서도 유독 당근마켓을 좋아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어른이 되고 타국에서 이방인으로 지내는 동안, 그는 동네에 속해 있다는 감각을 잃어갔다. 대체로 혼자 일하고 혼자 시간을 보내는 것도 그럭저럭 괜찮았지만 이따금 가벼운 인사와 안부 속에 둘러싸이고 싶은 날이 있었다. 자신의 ‘동네’와 ‘이웃’이 어디까지일지 생각하면 골똘해졌다.
그런데 단순히 중고 거래를 위해 시작한 당근마켓에서 뜻밖에도 ‘나의 동네와 이웃’을 만났다. 어떤 날은 당근마켓의 ‘동네생활’ 게시판을 보다가 하루가 다 갔다. “만난 적 없지만 가까이 거주하는 이들이 (그 게시판에서) 온갖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친구를 만날 준비가 된 것처럼, 그렇지만 친구가 되지 않아도 괜찮은 것처럼, 사람의 선의를 아직 능동적으로 믿는 것처럼. 아직도 이런 데가 있다니.” 게다가 당근은 닉네임으로 활동하는 익명의 공간, 온라인 채팅으로 물건과 노동을 거래하는 마켓이지만, ‘매너 온도’라는 아름다운 장치 덕분에 판매자와 구매자가 공평한 위치에서 서로를 함부로 대하지 않는다. 얼굴을 보고 이름을 부르지 않아도 서로에게 기꺼이 도움을 주고 적절하게 개입하고 긴요하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거기서 배웠다. 이훤 작가는 말한다. 인간에 대한 믿음과 사랑이 식어가는 이 시대에도, 개인과 개인이 만나 물건과 관계와 이야기를 나누며 우정을 나눌 수도 있다고. 보여주고 나누고 연결되고 싶은 마음을 주고받으며 그날그날 필요한 유대가 그렇게 일어나고 또 시작될 수 있다고. 당근마켓에서 “우리는 그렇게 만날 수도 있다”고.
『아무튼, 당근마켓』의 마지막 장에는 이훤 시인이 3천5백만 ‘당근인’들을 위해 선물한 시 「당신의 온도」를 실었다.